반응형
디아블로 시리즈는 그 어두운 세계관과 폭력성, 종교적 상징성 등으로 인해 청소년에게 유해한 콘텐츠로 지적받아 청소년 보호 정책과 관련한 여러 조치와 규제가 뒤따랐습니다.
디아블로 시리즈의 유해 콘텐츠 요소
구분 | 내용 | 문제점 |
폭력성 | 잔인한 전투 장면, 고어, 피, 신체 절단 등 | 과도한 시각적 자극, 공격성 유발 우려 |
선정성 | 릴리트 등 일부 여성 캐릭터의 노출도 높은 복장, 유혹 장면 | 성적 이미지의 소비 및 왜곡된 성 인식 유발 가능성 |
종교적 테마 | 악마 숭배, 타락한 성직자, 이단 처형, 종교 상징물의 변형 | 특정 종교에 대한 모욕으로 비칠 수 있음 |
중독 요소 | 반복 루팅, 과금 유도 시스템(특히 디아블로 이모탈) | 몰입 중독, 현금 결제 유도 |
주요 국가의 청소년 보호 정책 및 게임 등급 제도
한국 (GRAC: 게임물관리위원회)
- 대부분 디아블로 시리즈는 청소년 이용불가 (18세 이상) 등급을 부여.
- 게임 내 폭력성, 선정성, 약물/도박 요소가 기준 이상일 경우 등급 거부 또는 수정 요구 가능.
- 넷이즈가 유통한 디아블로 이모탈은 과금 요소 때문에 논란이 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정식 출시.
유럽 (PEGI 기준)
- 대부분 PEGI 18 등급.
- 사전에 폭력/공포/도박 요소를 명확히 표시해야 하며, 부적절한 콘텐츠는 자동 필터링 또는 수정 대상.
미국 (ESRB 기준)
- 일반적으로 M (Mature, 17+) 등급 부여.
- Blood and Gore, Violence, Suggestive Themes 등의 라벨이 필수적으로 붙음.
벨기에 및 네덜란드
- 디아블로 이모탈의 가챠 시스템이 도박으로 간주되어 출시 금지 조치됨.
- 미성년자 접근 차단을 넘어 전체 이용 금지로 강력한 대응.
블리자드 및 플랫폼의 청소년 보호 조치
1. 연령 제한 및 계정 인증
- Battle.net에서 연령 인증 필수.
- 부모 동의 없이 미성년자 계정 생성 불가.
2. 게임 내 필터링 기능
- 채팅 금칙어 필터링, 폭력·선정 장면 편집은 없으나, 일부 기능 제한 가능.
3. 플레이 타임 및 결제 제한 (지역별 적용)
-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는 미성년자 대상 접속 시간 제한 및 결제 한도 적용.
- 한국에서도 PC방 시간 관리 시스템과 연동 가능.
4. 경고 표시 및 사용자 고지
- 게임 실행 전 콘텐츠 경고(폭력, 고어 등)를 시각적으로 표시.
- 앱스토어, 플랫폼에서도 연령 등급과 경고문 명확히 표기.
결론
디아블로 시리즈는 본질적으로 성인 대상의 어두운 판타지 세계를 담고 있어, 청소년에게는 적절하지 않은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는 이를 연령 등급 부여와 유통 제한을 통해 관리하고 있으며, 블리자드 역시 플랫폼 차원에서 연령 인증, 플레이 제한, 콘텐츠 고지 등의 방법으로 청소년 보호에 나서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바일 게임 "디아블로 이모탈"과 같은 새로운 플랫폼과 과금 구조가 등장함에 따라, 향후 더 정교하고 강력한 청소년 보호 장치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반응형